Corruption Risk Assessment
부패위험성 진단
국민권익위원회 표준 모형을 바탕으로
기관 특성에 맞는 모형을 적용해 조직, 직위, 개인의 부패 위험도를 입체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부패 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며, 고위 공직자의 청렴도와 리더십 향상을 촉진하는 평가입니다.
기관 특성에 맞는 모형을 적용해 조직, 직위, 개인의 부패 위험도를 입체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부패 위험 요인을 발굴하고 자율적 개선을 유도하며, 고위 공직자의 청렴도와 리더십 향상을 촉진하는 평가입니다.
-
조직 환경
-
업무 환경
-
개인별 청렴도
-
부패위험성 진단
Evaluation Method
평가 시스템을 통한 설문조사 진행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통한 설문조사 진행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 링크된 Web-site 접속
Evaluation Criteria
평가 내용
01조직환경 부패위험성 진단
조직 전반의 환경에 대한 부패위험성 인식을
평가합니다.
평가 항목
조직 개방성, 권한의 크기, 의사결정 과정의 공정성, 연고주의, 퇴직자 재취업
02업무환경 부패위험성 진단
업무 특성에 따른 직위에 대한 부패위험성 인식을
평가합니다.
평가 항목
청탁 위험성, 재량의 정도, 업무관련 정보의 중요도, 이해관계자 위험성, 퇴직자 재취업
03개인별 청렴도 평가
고위공직자 개인의 청렴수준에 대한 행태를
평가합니다.
평가 분야
직무청렴성, 청렴실천 노력 및 솔선수범
평가 영역
공정한 직무수행, 부당이득 수수 금지, 건전한 공직풍토 조성
부패위험성 진단 기대효과
부패 위험 요인을 발굴하여 자율적으로 개선하고고위공직자의 청렴도 향상과 솔선수범을 유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