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프라인 시스템 파트너

진단평가

소통과 변화를 만들어 드립니다

진단평가내·외부 청렴도 조사
소개&특장점 내·외부 청렴도 조사 부패위험성 진단 다면평가 맞춤형 조사분석
Integrity Evaluation
내·외부 청렴도 조사
조직 내부 구성원과 업무 경험이 있는 외부인을 대상으로 부패 실태와 부패 유발 요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공공기관 및 기업의 청렴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조사입니다.
이를 통해 부패 취약 분야와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중장기 청렴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청렴문화 지수
  • 업무청렴 지수

내부청렴도

자체청렴도 조사

외부청렴도

  • 부패위험 지수
  • 부패 지수
Integrity Evaluation Detail
평가 방식 및 내용
01내부청렴도 조사
내부 구성원을 대상으로 부서별 부패 취약분야에 대한 인식과 청렴수준을 평가합니다.
평가 지수

청렴문화 지수(개인청렴, 조직문화, 부패방지 제도)

업무청렴 지수(인사업무, 예산집행, 부당한 업무지시)

평가 방식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통한 설문조사(평가자는 이메일에 링크된 Web-site에 접속)

02외부청렴도 조사
업무처리 경험이 있는 외부인을 대상으로 업무별 부패 취약분야에 대한 인식과 청렴수준을 평가합니다.
평가 지수

부패 위험 지수(투명성, 책임성)

부패 지수(부패 인식, 부패 경험)

평가 방식

레드휘슬 자체 콜센터를 통한 전화조사

내·외부 청렴도 조사 기대효과

내부 직원과 외부 관계자의 인식을 반영하여 기관의 청렴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부패 위험 요인을 분석 및 개선함으로써 공공 신뢰도 향상에 기여합니다.